주요연구실적 |
*도서 -『문학과 서정의 이면』(새미, 2012) -『신경림과 민족문학 다시 읽기』(국학자료원, 2014) -『한국근현대문학의 민족 표상』(한국문화사, 2015) -『다문화시대의 민족문학』(청동거울, 2015) -『산란하는 현실들』(청동거울, 2015) -『황순원과 순수문학 다시 읽기』(문학수첩, 2018)
*논문 -A&Hci Jeong-Gu Kang, Jihie Moon, Antinomy of the seventeenth-century discourses between the Orient and the West, regarding the Joseon Dynasty of Korea and Hendrik Hamel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(VOC), Dutch Crossing 41, Routledge Taylor & Francis Group, 2017.7., pp.129-142,
*한국연구재단 등재지(최근 4년) -강정구, 「식민지 시기의 김기림 비평에 나타난 민족 표상의 성격 재고(再考)」, 『한민족문화연구』 453집, 한민족문화학회, 2014.2, pp.429-457. -강정구·김종회, 「해방기 소설의 민족주의 과잉 양상 고찰-일본인 소재의 소설을 중심으로」, 『어문학』 123집, 한국어문학회, 2014.3, pp.243-266. -강정구, 「아메리카니즘과 성매매 여성-주요 전후소설을 중심으로」, 『우리어문연구』 49집, 우리어문학회, 2014.5, pp.429-457. -강정구, 『신경림과 민족문학 다시 읽기』, 국학자료원, 2014.11.21. pp. 1-327. ISBN 978-89-279-08616. -강정구·김종회, 「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ㆍ동시에 나타난 동심성(童心性)」, 『현대문학의 연구』55집, 한국문학연구학회, 2015.2, pp.373~400. -강정구·김종회, 「식민지 시기의 시단(詩壇)의 ‘민족’ 표상에 관한 시론(試論)」, 『한민족문화연구』 49집, 『한민족문화학회』, 2015.2, pp.535~563. -강정구·김종회, 「1930년대의 주요 동요·동시에 나타난 아동 관념의 변화」, 『한국사상과 문화』 77집, 한국사상문화학회, 2015.3, pp.403~425. -강정구, 「부르주아 민족주의 좌파 경향의 시인 유완희」, 『우리문학연구』 46집, 우리문학회, 2015.4, pp.171~194. -강정구, 『산란하는 현실들』, 청동거울, 2015.8.25. pp. 1-280. ISBN 978-89-5749-176-8 -강정구, 『다문화시대의 민족문학』, 청동거울, 2015.8.25. pp. 1-284. ISBN 978-89-5749-177-5 -강정구, 『한국 근현대 문학의 민족 표상』, 한국문화사, 2015.8.25. pp. 1-307. ISBN 978-89-6817-281-6 -강정구, 「펫팸족의 출현과 반려동물의 재인식? 2000년대 이후 한국문학과 영화 작품을 중심으로」, 『세계문학비교연구』 54집, 세계문학비교학회, 2016.3, pp.5~27. -강정구, 「개항기 서양인들의 주요 한국체험기에 나타난 제국주의 담론의 자체 모순과 혼란」, 『한국사상과 문화』 82집, 한국사상문화학회, 2016.3, pp.211~234. -강정구, 「1930년대 초반의 황순원 동요ㆍ동시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」, 『한국아동문학연구』 30집, 한국아동문학학회, 2016.5, pp.29~50. -강정구, 「민족을 상상하는 해방기의 문학 - 일(日)·미(美) 표상을 중심으로 -」, 『어문학』 132집, 한국어문학회, 2016.6, pp.169~192. -강정구, 「영화 <마음이>에 나타난 인간과 동물 관계의 탈구조주의적인 고찰 -반려동물 가족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-」, 『한민족문화연구』 54집, 한민족문화학회, 2016.6, pp.327~356. -강정구, 「1980-90년대 황지우 시의 초월지향성 한 고찰」,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51집,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, 2016.8, pp. 133~154. -강정구·김종회, 「1930년대의 황순원 동요·동시와 그 영향 -순수문학의 기원과 형성을 중심으로」, 『한국아동문학연구』 31집, 한국아동문학학회, 2016.12, pp.69-91. -강정구·김종회, 「황순원 시집?『골동품』의 동시적(童詩的)인 특성」, 『동화와번역』 32집, 동화와번역 연구소, 2016.12, pp.15-35. -강정구·김종회, 「1990년 전후(前後) 문학 속의 탈근대성 고찰-유하, 장석남, 기형도의 시를 중심으로」, 『세계문학비교연구』 57집, 세계문학비교학회, 2016.12, pp.47-66. -강정구·김종회, 「황지우의 1980년대 초중반 시에 나타난 신중산층 재현 양상」, 『국제어문』 71집, 국제어문학회, 2016.12, pp.67-86. -강정구, 「1930년대 황순원의 초기문학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」, 『비평문학』 62호, 한국비평문학회, 2016.12, pp.7~30. -강정구·김종회, 「황지우의 초기시에 나타난 중간계급 표상 연구」, 『우리문학연구』 53집, 우리문학회, 2017.1, pp. -강정구, 「제국주의 담론의 내적 모순 ?개항기 서양인의 조선 체험기를 중심으로」, 『외국문학연구』 65집, 외국문학연구소, 2017.2, pp.53-70. -강정구, 「황순원의 시집 ??방가??의 재탐색」, 『어문학』 135집, 한국어문학회, 2017.3, pp.209-229. -강정구, 「조병화의 시집 ??개구리의 명상??에 나타난 순수성 고찰」, 『비평문학』 64호, 한국비평문학회, 2017.6, pp.7-28. -강정구, 「황순원의 해방 이후 발표 작품에 나타난 좌우 이데올로기 대응 양상」, 『우리문학연구』 55집, 우리문학회, 2017.7, pp.271-296. -강정구, 「황순원 소설 속의 상층계급 한 고찰 ?식민지 시기 발표 소설을 중심으로」, 『세계문학비교연구』 60집, 세계문학비교학회, 2017.9, pp.57-77. -강정구, 「해방기에 나타난 문학적인 순수 관념의 다층성 - 황순원의 경우 -」, 『한국문예비평연구』 56집,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, 2017.12, pp.345-372. -강정구, 「황순원의 초기소설에 나타난 순수성 재고」, 『비평문학』 66호, 한국비평문학회, 2017.12, pp.7-30. -강정구, 「황순원 초기 소설 속의 순수한 아동 표상 고찰」, 『한국아동문학연구』 33집, 한국아동문학학회, 2017.12, pp.5-30. |